본문 바로가기

테니스/부상예방 및 회복

(13)
무릎 부상 없는 테니스를 위한 올바른 풋워크 훈련법 1. 무릎 부상과 풋워크의 관계 – 테니스 생체역학의 이해테니스에서 무릎은 코트 위에서 방향 전환, 급정지, 점프 착지 등 거의 모든 동작에 관여하는 핵심 관절이다. 특히 아마추어 선수들이 흔히 겪는 무릎 통증이나 전방십자인대(ACL) 손상, 반월상연골 손상 등은 단순히 체력 부족이 아니라 잘못된 풋워크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볼에 늦게 반응하여 허리와 무릎을 동시에 비틀면서 접근하면 무릎에 회전성 하중이 집중되어 부상 위험이 높아진다. 반대로, 올바른 풋워크를 통해 신체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키면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무릎 부상 예방은 단순히 보호대 착용이나 근력 강화만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움직임의 패턴 자체를 바르게 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즉,..
라켓과 스트링 세팅이 부상 위험에 미치는 영향 1. 라켓 무게와 밸런스 (부상 위험의 물리적 기초)테니스에서 라켓 무게와 밸런스는 단순히 볼의 파워와 컨트롤을 결정하는 요소를 넘어, 선수의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과 직결된다. 예를 들어 무게가 지나치게 가벼운 라켓은 빠른 스윙을 유도하지만, 공의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손목이나 팔꿈치에 미세한 진동이 그대로 전달된다. 반대로 무거운 라켓은 충격 흡수력이 뛰어나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으나, 아마추어가 장시간 사용하기에는 어깨와 등 근육에 피로가 누적될 수 있다. 또한 헤드라이트(Head Light) 밸런스는 스윙 가속에는 유리하지만 팔꿈치 부담을 늘릴 수 있고, 헤드헤비(Head Heavy) 밸런스는 임팩트 파워를 강화하지만 손목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라켓 선택은 단순히 ..
테니스에서 어깨 건강 지키는 올바른 서브 동작 분석 1. 어깨 부상의 주요 원인 (서브 메커니즘과 과부하) 테니스에서 어깨 부상은 서브 동작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서브는 라켓을 머리 위로 올려 강한 스윙을 만들어내는 동작이기 때문에 어깨 관절, 회전근개, 견갑골 주변 근육이 동시에 작용한다. 그러나 아마추어 선수들은 힘을 내기 위해 팔만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상체 회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잘못된 서브 메커니즘은 어깨에 직접적인 과부하를 주며, 반복되면 미세 손상이 축적된다. 특히 라켓 헤드를 늦게 떨어뜨리거나, ‘엘보 드롭(elbow drop)’ 동작 없이 손목 스냅만으로 서브를 완성하려 할 때 어깨 충격은 더 커진다. 따라서 어깨 부상의 주요 원인은 팔 중심 서브, 회전 부족, 반복적 과부하이며, 이를 방지하려면 전신을..
아마추어 테니스에서 흔한 손목 부상, 예방과 치료법 1. 아마추어 테니스 손목 부상의 원인 – 과사용, 잘못된 스윙, 장비 문제 아마추어 테니스 동호인들에게 가장 흔한 부상 중 하나가 바로 손목 부상이다. 테니스는 전신 운동이지만, 볼을 맞히는 순간 손목은 충격을 직접적으로 흡수하며 큰 부담을 받는다. 특히 초보자들은 공을 강하게 치기 위해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올바른 타구 메커니즘을 익히지 못해 손목이 꺾이는 동작을 자주 한다. 이러한 잘못된 습관이 반복되면 손목의 작은 근육과 인대에 미세 손상이 축적되면서 통증으로 이어진다. 또한, 지나치게 높은 스트링 텐션, 라켓의 무게 불균형, 그립 크기 부적합 같은 장비 문제도 손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폴리에스터 스트링을 사용하면서 텐션을 높게 세팅하면 충격이 손목까지 전달되고, 손목을..
테니스 엘보(팔꿈치), 왜 생기고 어떻게 막을까? 1. 테니스 엘보 원인 이해 (팔꿈치 통증, 과사용, 잘못된 스윙 메커니즘) 테니스 엘보(Lateral Epicondylitis)는 팔꿈치 바깥쪽에 있는 힘줄과 근육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미세한 손상이 누적되어 발생하는 대표적인 스포츠 부상이다. 특히 아마추어 테니스 동호인들이 가장 흔히 겪는 질환 중 하나로, 테니스뿐만 아니라 골프, 배드민턴, 심지어는 컴퓨터 마우스 사용이나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일상 활동에서도 생길 수 있다. 주된 원인은 "과사용(overuse)"과 잘못된 스윙 메커니즘이다. 팔과 손목의 근육이 반복적으로 긴장된 상태에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면, 팔꿈치 바깥쪽 힘줄에 미세 파열이 생기며 염증과 통증으로 이어진다. 특히 라켓의 무게, 스트링 텐션, 그립 크기 등이 맞지 않을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