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충격 흡수력의 중요성과 평가 기준 (충격 흡수력, 진동, 테니스 엘보우 예방)
테니스 스트링은 단순히 공을 튕겨내는 도구가 아니라, 플레이어의 손과 팔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조절하는 필터 역할을 한다. 특히 충격 흡수력은 테니스 엘보우와 같은 만성 부상 예방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다. 공이 라켓에 맞을 때 발생하는 진동은 스트링 → 프레임 → 그립 → 손 → 팔꿈치로 이어지는데, 스트링의 소재와 구조는 이 진동의 크기와 지속 시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충격 흡수력은 단순히 ‘말랑한 느낌’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는 진동의 크기를 얼마나 줄여주는지, 팔로 전달되는 힘을 얼마나 분산시키는지, 타구 후 스트링이 얼마나 빠르게 안정화되는지가 주요 평가 기준이다. 이 세 가지 기준에 따라 스트링 소재를 분류하고 비교하면, 어떤 스트링이 플레이어에게 더 안전하고 편안한 선택이 될 수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있다.
2. 내추럴 거트: 최고의 충격 흡수 능력을 지닌 천연 소재 (내추럴 거트, 유기물 구조, 진동 감소율)
내추럴 거트는 소의 창자에서 얻은 천연 섬유로 만들어진 스트링으로, 충격 흡수력 측면에서는 단연 최상위에 속한다. 이 스트링은 내부가 수천 가닥의 미세 섬유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공이 라켓에 닿을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킨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텐션 조건에서 내추럴 거트는 진동을 30~40% 이상 감소시키며, 특히 고속 볼을 받아낼 때 그 차이가 확연하다.
또한 내추럴 거트는 공과의 접촉 시간이 긴 편이라 타구 시 느낌이 매우 부드럽고, 반발력과 타구 일관성도 함께 제공한다. 하지만 이 스트링은 습기에 약하고 가격이 비싸며, 관리가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꿈치에 민감한 선수, 시니어 플레이어, 장시간 라운드를 즐기는 유저라면, 높은 비용을 감수하더라도 내추럴 거트의 충격 완화 성능은 충분히 가치 있는 선택이다.
3. 멀티필라멘트와 텍스트린: 합성 소재의 충격 완화 역할 (멀티필라멘트 스트링, 텍스트린, 충격 분산 구조)
멀티필라멘트 스트링은 수백~수천 개의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병렬 혹은 꼬임 구조로 배열한 합성 스트링이다. 이 구조 덕분에 스트링은 매우 유연하고, 타구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각 섬유로 나눠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텐션을 낮게 세팅했을 때 충격 흡수력이 상승하며, 손목이나 팔꿈치에 무리를 덜 주는 특징을 가진다.
멀티필라멘트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Tecnifibre NRG2, Wilson NXT, Head Velocity MLT 등이 있으며, 일반적인 폴리 스트링보다 약 20~30% 가량 충격 감소율이 높다는 테스트 결과도 있다.
비슷한 범주에 속한 텍스트린 스트링은 섬유가 평면적으로 짜여 있는 구조로, 멀티필라멘트보다는 다소 견고하지만 여전히 부드러운 타구감을 제공한다. 단점은 내구성이 낮고, 스트링이 오래되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된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멀티필라멘트와 텍스트린 스트링은 초보자, 여성 선수, 중년층 유저에게 매우 추천되는 스트링 카테고리이며, 가격 대비 높은 충격 흡수 성능을 보여준다.
4. 폴리와 하이브리드의 충격 흡수력 한계와 활용법 (폴리 스트링, 하이브리드 세팅, 반발성 개선)
폴리에스터 기반의 "모노필라멘트 스트링(일명 폴리 스트링)"은 내구성이 높고 스핀 생성에 유리하지만, 충격 흡수력 면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받는 소재이다. 이 스트링은 단단하고 반발력이 낮아, 공이 닿을 때 진동을 대부분 손과 팔로 전달해 버린다. 이런 특성 때문에 고강도 훈련을 하는 선수층에는 적합하나, 팔에 부담을 느끼는 사용자에게는 장시간 사용 시 위험 요소가 된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이브리드 세팅이 있다. 메인 스트링은 폴리, 크로스 스트링은 멀티필라멘트나 내추럴 거트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내구성과 스핀 유지력은 확보하면서 충격 흡수력은 일정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절충안이다. 프로 선수들도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페더러는 내추럴 거트를 메인으로, 폴리를 크로스 스트링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구성을 통해 성능과 팔 부담 사이의 균형을 잡았다.
결론적으로, 충격 흡수력이 가장 높은 스트링은 내추럴 거트 > 멀티필라멘트 > 텍스트린 > 폴리 순이며, 각 스트링은 플레이어의 스타일, 부상 이력, 사용 시간 등을 고려해 선택되어야 한다. 부상을 방지하고 오랫동안 건강한 테니스 라이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는 스트링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필수다.
'테니스 > 라켓 세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드사이즈와 스트링 패턴의 관계 (1) | 2025.08.13 |
---|---|
라켓 프레임 두께가 주는 반발력 차이 (1) | 2025.08.13 |
오픈 패턴과 클로즈드 패턴, 무엇이 나에게 맞을까? (1) | 2025.08.13 |
16x19 vs 18x20 패턴, 스핀과 컨트롤의 차이 (2) | 2025.08.12 |
부드러운 타구감을 원하는 사람을 위한 스트링 가이드 (2) | 2025.08.12 |
폴리 스트링의 수명과 성능 저하 시점은? (1) | 2025.08.12 |
하이브리드 스트링 조합 추천과 장단점 (2) | 2025.08.12 |
스트링 두께(gauge)에 따른 타구감과 컨트롤 비교 (2) | 2025.08.11 |